반응형 올바른표현2 '게다'와 '개다'의 차이 '게다'와 '개다'의 차이'게다'는 '게'에 조사 '-다'가 붙은 단어로, '더하여'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개다'는 '개'에 조사 '-다'가 붙은 단어로, '열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즉, '게다'와 '개다'는 발음이 비슷하지만 의미와 용법이 완전히 다른 단어입니다.'게다'의 올바른 사용법'게다'는 '더하여', '그 외에도' 등의 뜻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그 사람은 성실할 뿐만 아니라 게다 친절하기까지 하다.이번 여행에서는 제주도를 가보고 게다 부산까지 들렀다.'개다'의 올바른 사용법'개다'는 '열다'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문을 개다.창문을 개고 환기를 시켰다.맺음말'게다'와 '개다'는 발음이 비슷하지만 의미와 용법이 완전히 다른 단어입니다. 이를 구분하여 올바르게 사용하는 .. 2024. 5. 20. 장애에 대한 올바른 표현 일상에서 쉽게 표현되는 장애에 대한 사례들을 살펴보고장애에 대한 올바른 표현을 알아보자. 사례1)ㅇㅇ씨는 지적장애를 앓고 있는 딸을 학교에 데려다줄 수 없는사정이 생길 때마다 다른 학부모에게 대신 등교를 부탁합니다.지적장애를 앍고 있는 ☞ 지적장애가 있는'어떤 장애를 앓다'는 표현은 모두 '어떤 장애가 있다'로 바꾸어 표현하는 것이 맞습니다. 사례2)ㅇㅇ씨는 지하청 엘리베이터 확보 등 휠체어 장애인 등교통약자들의 이동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휠체어 장애인 ☞ 휠체어 사용자'휠체어 사용자'나 '휠체어 이용자'로서 표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례3)기존 노동계 주장을 그대로 답습한다면 고용 개혁만 있고노동개혁은 실종된 절름발리 개혁안이다.절름발이 ☞ 부실한이는 장애인을 비하하는 표현으로 굳이 장애와.. 2024. 5. 14. 이전 1 다음 반응형